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각국 블로그 플랫폼별 문서 도구 호환성

by kimeoye 2025. 8. 11.

전 세계 블로거들은 각국에서 선호하는 블로그 플랫폼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워드 프로세서, 온라인 문서 편집기, 마크다운 에디터 등 작성 도구와의 호환성 차이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가별 인기 블로그 플랫폼과 문서 도구의 호환성을 비교해, 콘텐츠 작성과 업로드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각국 블로그 플랫폼별 문서 도구 호환성

한국 –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와 오피스 도구

네이버 블로그티스토리가 대표적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는 자체 에디터가 직관적이지만, 외부 워드나 구글 Docs에서 복사·붙여넣기 시 서식 깨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표, 글머리 기호, 글자 색상 등이 일부 변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마크다운 변환 후 붙여넣기, 또는 HTML 모드에서 직접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티스토리
티스토리는 HTML 편집 기능이 강력해, MS Word, Google Docs, Notion 등 다양한 도구에서 작성한 문서를 비교적 원본에 가깝게 반영합니다. 다만, 이미지 위치가 깨지거나 여백이 달라질 수 있어 발행 전 미리보기로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영어권 – 워드프레스와 클라우드 문서 서비스

WordPress는 영어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워드프레스는 Google Docs, Dropbox Paper, MS Word와의 호환성이 높습니다. 특히 Google Docs는 플러그인을 통해 이미지 포함 문서를 그대로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Gutenberg 블록 에디터 덕분에 표, 버튼, 인용문 등을 별도의 코드 수정 없이 배치할 수 있습니다.

Medium은 마크다운과 HTML 모두 지원하지만, Google Docs에서 붙여넣을 때 글꼴 스타일이 기본 테마로 변경됩니다. 심플한 디자인 덕분에 서식 호환성 문제가 적지만, 복잡한 레이아웃 구성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일본·아시아권 – 아메바 블로그와 로컬 도구

Ameba Blog는 전용 에디터를 사용하며, 외부 문서에서 복사한 콘텐츠를 붙여넣을 경우 글꼴과 크기가 변환됩니다. MS Word보다 Ichitaro(일본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성한 문서 호환성이 높습니다.
표 삽입 기능이 제한적이라 HTML로 표를 직접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Note는 마크다운 기반으로 작성 도구 호환성이 뛰어나, Typora, Obsidian, Notion에서 작성한 글을 거의 그대로 반영합니다. 이미지 업로드도 드래그 앤 드롭으로 간단합니다.

호환성 비교 종합표

국가/플랫폼 호환성 높은 도구 주의점 특징
한국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에디터, 마크다운 변환 외부 서식 깨짐 네이버 검색 최적화 강점
한국 / 티스토리 MS Word, Google Docs, Notion 이미지 위치 조정 필요 HTML 편집 자유
미국 / WordPress Google Docs, Dropbox Paper 플러그인 설정 필요 확장성·SEO 강점
미국 / Medium 마크다운, HTML 복잡한 레이아웃 제한 심플한 디자인
일본 / Ameba Blog Ichitaro, 전용 에디터 표 기능 제한 로컬 사용성 우수
일본 / Note Typora, Obsidian, Notion 없음 마크다운 완벽 지원

각국 블로그 플랫폼은 사용하는 문서 도구에 따라 호환성 차이가 큽니다. 서식이 깨지거나 레이아웃이 무너지는 문제를 줄이려면, 플랫폼 특성에 맞는 작성 도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HTML과 마크다운 활용 능력을 갖추면, 어떤 플랫폼에서도 높은 품질의 글을 안정적으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애드센스 승인에 필요한 ‘가독성 높은 콘텐츠’ 제작에도 큰 이점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