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콘텐츠 기획부터 발행까지, 툴로 해결하는 방법

by kimeoye 2025. 7. 20.

콘텐츠 제작은 단순히 글을 쓰는 행위를 넘어 기획, 자료 수집, 초안 작성, 편집, 시각화, 발행, 공유까지 복합적인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 모든 단계를 수작업으로 처리하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실수도 자주 발생합니다. 특히 1인 블로거나 소규모 팀은 인력과 리소스가 한정돼 있기 때문에 각 단계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도구 활용 전략’이 필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콘텐츠 기획부터 발행까지 전 과정을 툴로 해결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소개합니다.

콘텐츠 기획부터 발행까지, 툴로 해결하는 방법

1. 콘텐츠 기획과 아이디어 정리는 Notion으로

Notion은 콘텐츠 기획을 가장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아이디어 수집, 주제 정리, 캘린더 관리, 작업 상태 트래킹까지 모든 과정을 한 공간에서 처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를 운영한다면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콘텐츠 기획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 📋 테이블 뷰: 주제명 / 카테고리 / 키워드 / 작성 상태 / 발행일
  • 📅 캘린더 뷰: 주간/월간 발행 계획 확인
  • 📌 태그 정리: 정보글 / 리뷰 / 에세이 등 분류

Notion의 가장 큰 장점은 다양한 템플릿을 기반으로 빠르게 구조를 설정할 수 있고, 모바일-PC 동기화도 뛰어나 언제 어디서든 콘텐츠 아이디어를 정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Notion AI 기능을 활용하면 초안 추천, 글 요약, 문장 교정도 가능합니다.

2. 자료 수집과 초안 작성은 Obsidian 또는 Google Docs로

콘텐츠의 품질은 자료조사와 아이디어 정리에 달려 있습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도구가 ObsidianGoogle Docs입니다.

Obsidian은 마크다운 기반으로, 자료와 아이디어를 노트 형식으로 쌓고, 서로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합니다. 아이디어 간 연관성을 시각화할 수 있는 ‘그래프 뷰’ 기능은 시리즈 기획이나 테마별 콘텐츠 설계에 탁월합니다. 특히 장기 운영 콘텐츠 블로그나 정보 아카이빙에 적합합니다.

반면, Google Docs는 빠르게 초안을 작성하고 팀원과 실시간 공유하며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음성 타이핑, 댓글 기능, 버전 기록 기능이 있어 협업 콘텐츠나 공동 운영 블로그에 유용합니다.

자료 수집 단계에서는 Google Keep, Evernote, Pinterest 같은 리서치 도구와 병행해 스크랩과 저장을 자동화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3. 시각 자료와 발행 관리까지 도구로 자동화

콘텐츠가 준비되면, 이제 시각화와 발행 준비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때 활용할 수 있는 툴은 Canva, Buffer, WordPress 등이 있습니다.

Canva는 썸네일, 인포그래픽, 인용 카드 등을 쉽게 만들 수 있는 디자인 툴입니다. 수많은 템플릿이 제공되고, 한글 폰트와 SNS 이미지 비율도 모두 지원돼 초보자도 고퀄리티 비주얼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완성된 콘텐츠는 WordPress티스토리, 네이버 블로그에 업로드하며, SNS 채널과도 연동해야 합니다. 이때 Buffer를 이용하면 블로그 글을 각 SNS에 자동 예약 발행할 수 있어 운영 효율이 극대화됩니다.

발행 이후에는 Google Analytics, Ubersuggest, Naver Search Console 등 분석 툴로 유입 데이터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다시 Notion 콘텐츠 기획표에 피드백 자료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결론: 콘텐츠는 '시스템'으로 완성된다

좋은 콘텐츠는 좋은 아이디어에서 시작되지만, 꾸준한 콘텐츠는 ‘잘 설계된 시스템’에서 나옵니다. 오늘 소개한 Notion, Obsidian, Google Docs, Canva, Buffer, WordPress 등의 툴은 각각 기능이 다르지만, 함께 사용할 때 더 큰 시너지를 발휘합니다.

예를 들어,

  • Notion에서 기획 정리
  • Obsidian으로 아이디어 확장
  • Google Docs로 초안 작성 및 공유
  • Canva로 시각 자료 제작
  • WordPress에 게시 후 Buffer로 SNS 자동 발행

이러한 프로세스를 구축하면 하루 1~2시간의 작업으로도 일주일치 콘텐츠 운영이 가능합니다. 도구는 수단이지만, 전략적으로 조합하면 콘텐츠 운영을 자동화하고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시스템이 됩니다.

지금 당신의 콘텐츠 흐름을 돌아보세요. 그리고 작은 도구 하나부터 시작해 보세요. 꾸준함은 습관에서 나오고, 습관은 시스템에서 나옵니다.